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하구 제4선거구

덤프버전 :

||
파일:사하구_제4선거구8재.png
선거인 수88,900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사하구 일부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복조 (초선)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서남부 지역에 해당하는 장림동, 다대동 일대를 관할한다.

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서부산에 속하는 사하구 안에서도 외지인이 많이 유입되어 가장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3당 합당 이후 부산 최초의 민주당계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 당선된 곳도 이 곳이 포함된 사하구 을이다.[1] 비록 그 국회의원이 진영을 갈아탔지만 여전히 민주당세는 강한 편이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전국을 거의 휩쓸다시피한 7회 지선을 제외하면 민주당계 후보가 승리한 적은 없다. 다만 역시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승리한 5회 지선때는 2%p 이내로 승부가 갈리는 등 꽤나 보수정당 입장에서도 쉽게 생각할 곳이 아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사하구 제4선거구
제2대조양득
ta-hash-start=w-07246f1add4748b2c3c031e2ec9262e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2]
제3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제4대이상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5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7년[3]
신숙희2007년 12월 20일 ~ 2010년 6월 30일
제6대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7대조정화
ta-hash-start=w-3db511fe45c5c777e75d464ae1574bb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8대김정량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9대이복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양득(趙良得)23,7841위

ta-hash-start=w-76f1a15411747188e02232284cc6859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9.65%당선
2김채근(金寀根)9,8902위


24.80%낙선
3김용주(金龍珠)6,1933위

무소속

15.53%낙선
선거인 수63,932투표율
65.00%
투표 수41,560
무효표 수1,692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양득(趙良得)17,07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52%당선
2박수관(朴壽寬)5,6013위

ta-hash-start=w-113c2058e052d550d054f82cdcab1f75[[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7.55%낙선
4허동찬(許東贊)9,2272위

무소속

28.91%낙선
선거인 수80,650투표율
40.76%
투표 수32,880
무효표 수974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은(李相殷)17,31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8.41%당선
3김계우(金癸佑)4,1613위

무소속

14.03%낙선
4허동찬(許東贊)8,1642위

무소속

27.54%낙선
선거인 수85,066투표율
36.08%
투표 수30,699
무효표 수1,062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영주(孔永柱)12,0672위

ta-hash-start=w-a96ee5a57893e40c5cc729c5b3e09b2f[[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1.91%낙선
2이상은(李相殷)25,740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8.08%당선
선거인 수89,026투표율
43.34%
투표 수38,585
무효표 수778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숙희(辛淑姬)22,18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86%당선
2김갑민(金甲珉)21,4312위
49.13%낙선
선거인 수94,709투표율
47.18%
투표 수44,692
무효표 수1,07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정화(趙政和)26,4681위
53.86%당선
2김갑민(金甲珉)19,0212위
38.71%낙선
4배진탁(裵鎭卓)3,6453위
7.41%낙선
선거인 수95,354투표율
52.75%
투표 수50,300
무효표 수1,166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량(金正良)28,8221위
55.65%당선
2조정화(趙政和)22,9672위
44.34%낙선
선거인 수93,625투표율
56.83%
투표 수53,214
무효표 수1,425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하구 제4선거구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량(金正良)14,9412위
36.96%낙선
2이복조(李福助)25,4821위
63.03%당선
선거인 수88,900투표율
46.17%
투표 수41,042
무효표 수619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정량 시의원이 사하구 을 지역위원장으로 선임되었음에도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4]

국민의힘에서는 장림동에서 3선[5]을 한 이복조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복조 후보가 26%p 가량의 격차로 시의원으로 체급을 올리게 되었다. 모든 동에서 이복조 후보가 60% 이상 받았다. 다대1동에서 61.4%로 가장 적은 득표율이 나왔으며, 지난 대선때 한 자릿수 차밖에 안 났던 장림1동에서 63.3%, 가장 보수세가 짙은 다대2동에서 63.9%, 그리고 장림2동에서 66.4%로 압도적인 득표율을 올렸다. 이복조 후보의 지역구가 장림동이다 보니 거기서 상대적으로 선전하는 양상이었다. 더불어민주당 표심이 강한 한편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8.2% : 41.8%로 김정량 후보도 나름 40%를 넘기긴 했으나, 이조차도 15%p 이상 벌어져있는지라 30% 중반대를 만드는 수준에 그쳤다.


[1] 그 주인공이 바로 전국에서 손꼽히는 지역 기반을 자랑하는 조경태 의원으로, 민주당 당적만으로 무려 3번 연속 당선되었다. 문재인 당시 대표와의 갈등으로 보수정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후에는 기존 보수층과 유동층의 몰표를 받으며 아예 압승을 거두고 있다.[2]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3] 시의원직 상실.[4] 일반적으로 지역위원장들은 국회의원 내지 기초자치단체장에 출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지방의원에 도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잠시 관리형 지역위원장 느낌으로 맡았거나 현역인 본인 말고는 딱히 후보군이 없어서 나왔을 수도 있다.[5] 가번으로 나온 두 번은 당선되었고 나번으로 나온 6회 지선 때는 낙선하고 그 2년 뒤 재보선으로 재입성한 바 있다.